이 연구의 목적은 학령기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과 관련변인인 부모-자녀 친밀․지지 관계, 교 사의 정서적 지지, 또래애착, 아동의 정서조절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여 학령기 아동의 주 관적 안녕감을 상향조정할 수 있는 변인을 확인하는 것이다. 연구의 대상은 D시의 초등학교 5, 6학년 남녀 아동 798명 중 질문지에 성실히 응답한 669명이며,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23.0, AMOS 23.0 프로그램을 이용 하였다. 모델부합도는 절대부합도지수인 SRMR, RMSEA와 상 대부합도지수인 CFI, TLI.를 통해 평가하였고, 유의수준 .05를 기준으로 모수치의 통계적 유의 성을 검정하였다.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. 첫째, 부모-자녀 친밀․지지 관계, 교사의 정서 적 지지, 또래애착, 아동의 정서조절은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에 직접영향을 미쳤다. 둘째, 부모 -자녀 친밀․지지 관계, 교사의 정서적 지지, 아동의 정서조절은 또래애착에 직접영향을 미쳤 다. 셋째, 부모-자녀 친밀․지지 관계, 교사의 정서적 지지는 아동의 정서조절에 직접영향을 미 쳤다. 이러한 결과는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을 높이기 위하여 부모와 자녀와의 관계, 교사의 정 서적 지지, 또래애착과 아동의 정서조절이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.